프로토콜의 기능
- 단편화와 재조립
- 대용량의 데이터를 교환하는 프로토콜의 경우, 같은 크기의 데이터 블록(패킷)으로 분할(단편화)하여 전송
- 전송된 데이터를 원래의 모양대로 하나로 붙임(재조립)
- 캡슐화(포장) - 보안, 안전성(파손방지)
- 네트워크의 각 계층별로 사용할 정보를 관리하기 편하도록 구분해두는 것
- 송신자, 수신자의 주소, 오류 검출 코드, 프로토콜 제어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PCI(보내려는 원 데이터)에 단계별로 헤더(제어정보)를 덧붙여 캡슐처럼 감싸는 것을 의미
- 연결제어
- 연결 지향형 데이터 전송의 경우 연결 설정, 데이터 전송, 연결 해제의 3단계로 구성
- 하나의 세션이 만들어진 다음 지속적인 데이터 교환이 발생하므로 순서가 발생하고, 이를 제어해야 원활한 통신이 이루어 짐
- 3-Way handshake는 TCP의 연결을 초기화 할 때 사용한다면, 4-Way handshake는 세션을 종료하기 위해 수행되는 절차
[ 네트워크 쉽게 이해하기 22편 ] TCP 3 Way-Handshake & 4 Way-Handshake
우선 TCP의 3-way Handshaking 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 TCP 3-way Handshake 란? TCP는 장치들 사이에 논리적인 접속을 성립(establish)하기 위하여 three-way handshake를 사용한다. TCP 3 Way Handshake는 TCP/IP프로토
mindnet.tistory.com
- 데이터흐름 제어
- 수신사 측에서 데이터 전송량이나 전송 속도 등을 조절
- 처리 능력이 다르므로 천천히 보내라, 다시 보내라, 전송을 중지해라 등을 명령
- 슬라이딩 윈도우 등을 대표적인 흐름 제어 기법
- 오류 제어
- 오류 발생을 검출하여 재전송 요구하거나, 직접 오류 복구
- 재전송 요구 - 기존에 오류 데이터 버리고 재전송 요구
- 오류 복구 - 기존에 받은 오류 데이터를 복구하여 사용
- 패리티 비트 오류검출방식, 순환중복검사 등을 통해 오류를 검출
- 순서 지정
- 데이터가 단위(패킷)별로 분할하여 전송될 때, 각 패킷에 시퀸스 번호를 부여하여 순서대로도착할 수 있도록 제어
- 연결지향형에서만 사용
- 동기화
-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 데이터를 전송할 때, 타이밍이나 윈도우 크기 등을 합의하는 것
- 주소 지정
- 네트워크의 노드(컴퓨터, 장치)마다 서로 식별할 수 있는 고유의 번호를 부여
- 하나의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대방의 주소와 이름을 알아야 함
- 적어도 송신자의 주소(IP)와 이름(MAC), 수신자의 주소(IP) 와 이름(MAC), 총 4개의 정보가 있어야 통신이 가능
- 다중화(멀티플렉싱) - 한 번에 여러 정보를 통신할 수 있도록 가상의 회선을 설정하는 것
- 전송 서비스 - 우선순의, 서비스 등급, 보안의 정도 등에 차등을 둠
- ITU - 전기
- ISO - OSI
- ANSI - 미국 표준
- EIA - RS232 표준, 568B/A, 하드웨어 표준
- IEEE - Lan 802.x 표준
https://www.youtube.com/watch?v=HFeOq4cwhv0&list=PLPRsnvDFzZ8zxOb52B_K-o78s0FcrGXCF&index=2
https://www.youtube.com/watch?v=c4p0yD4zyEc&list=PLPRsnvDFzZ8zxOb52B_K-o78s0FcrGXCF&index=3
'네트워크 > 네트워크 관리사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전송 방식 (0) | 2024.06.24 |
---|---|
네트워크관리사 필기 완벽대비 1강 - 네트워크와 프로토콜 (0) | 2024.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