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이란?
-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을 줄여서 www 또는 웹이라고 함
- 웹은 인터넷에서 운영되는 서비스 중 하나, 인터넷 ≠ 웹
- 인터넷의 대표적인 서비스라 "인터넷 = 웹"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음, 하지만 기술적 관점에서 잘못된 생각
- 유럽입자물리연구소의 팀 버너스 리 1989년 웹 개발
- 목적 : 흩어져 있는 정보를 손쉽게 정리하고 공유하기 위한 차원
- HTML 마크업 언어를 통해 정보를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이퍼텍스트"를 포함한 콘텐츠 제공
-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해 TCP/IP 네트워크상에서 서비스를 운영하게 된 것이 웹의 시작
- 웹 자원들간의 의미관계 - 시멘틱 웹
- RDF는 시맨틱 웹에서 개체들간의 의미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일종의 기술 형식
- 관련 용어 : 온톨로지-클래스, 속성, 관계의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다.
- 개체탐색 - 클래스 설계 - 속성 설계 - 관계정의
- 개체탐색 - 클래스 설계 - 속성 설계 - 관계정의
웹 특징
- 인터넷은 컴퓨터 네트워크망을 의미, 웹은 인터넷 서비스 중 하나를 의미
- 웹은 인터넷상의 정보를 하이퍼텍스트 방식과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검색할 수 있게 해주는 정보 검색 시스템을 의미
- 웹은 HTTP 프로토콜 사용하며 HTML로 작성된 문서를 연결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
- 웹 서비스는 많은 사람들이 정보를 쉽게 공유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
08-1-2. 온톨로지(Ontology)
``` 08-1-2. 작성자 : 잔싱롱, 윤종훈 ``` 지금까지 시맨틱 웹(Semantic Web)이 추구하고자 하는 지식정보들간의 의미관계의 재구성과 그러한 의미관…
wikidocs.net
https://www.youtube.com/watch?v=SshkudrpnAA&t=2s
https://80000coding.oopy.io/88185408-2fa8-4781-8b41-7648d8d05612
Network에 대한 정리(1)
안녕하세요. Netpractice 들어가면서 네트워크에 대해 공부해야겠다하면서 봤던 블로그 속 내용들을 정리한 글들을 올리려고 합니다.
80000coding.oopy.io
'냐옹아 멍멍해봐(How to Speak IT)/테크(IT) 문법'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변호사이자 회계사인 변계사 Sam이 IT 스타트업에서 삽질하며 배운 경험과 지식 공유
better-together.tistory.com
https://bitnine.tistory.com/entry/RDF-Resource-Description-Framework-11'
RDF (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1.1
RDF의 한계를 넘어, 그래프 데이터베이스 알아보기 Agens Graph(아젠스 그래프) 출시 이후 비정형데이터의 일부 영역인 웹상의 데이터를 기술하는 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RDF)에 대해 기술된 내용입
bitnine.tistory.com
https://www.youtube.com/watch?v=dxluQDdnvSg
웹의 동작 구조
- HTML로 만들어진 콘텐츠는 '웹 서버' 소프트웨어를 통해 서비스로 제공
- 아바치, nginx 등 대표적
- 웹 서비스를 요청한 클라이언트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웹 브라우저' 소프트웨어가 필요
- 엣지, 크롬, 사파리, 웨일 등
- 웹 브라우저에 'www.naver.com' 입력
- DNS 서버는 www.naver.com이라는 도메인을 가진 IP 주소를 웹 브라우저에 제공
- 웹 브라우저는 IP 주소의 해당 서버 80번 포트로 접속 시도, 원하는 파일 요청 보통 index.html
- 웹 서버는 요청 내용을 분석하고 index.html 파일을 디스크에서 읽음
- 웹 서버는 파일 내용을 텍스트 그대로 요청한 클라이언트에 전송
- 웹 브라우저는 html 파일을 받아 분석하여 화면에 렌더링(구성,표현)
'컴퓨터 > jsp스프링프레임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 프로그래밍의 이해 - 웹 프로그래밍의 구조 (0) | 2025.02.27 |
---|---|
웹 프로그래밍의 이해 - 네트워크와 인터넷의 개념 (0) | 2025.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