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을 통해서 접속이 가능한 환경을 말한다. 사용자들은 스마트폰, PC에서 접속해 사용한다. 개인 단말기에 설치한 소프트웨어나 저장한 데이터밖에 사용할 수 없었지만,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소프트웨어, 동영상, 음악 등 자원을 사용할 수 있고 로컬 환경처럼 클라우드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클라우드에 구축된 "인프라(cpu, 메모리,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 등 인프라 전체를 임대해 주는 서비스로는 "AWS, Azure, 구글, 네이버 등"이 있다.
이처럼 인프라를 활용하는 서비스나 이를 사용하는 것을 클라우드 컴퓨티이라고 한다. 클라우드라고 하면 "클라우드 컴퓨팅"을 의미한다.
- 공용 클라우드 - AWS에서 임대, '인터넷으로 사용할 수 있는 IT 자산'
- 사설 클라우드 - 클라우드를 자사에 구축
온프레미스에서 클라우드로의 의미
- 자사 운영에서 임대로
- 비클라우드에서 클라우드로
가상화와 분산 처리
가상화란
물리적인 메모리와 하드 디스크, OS 등 다양한 부품을 소프트웨어로 대체하는 것을 가상화 기술이라 한다. 예를 들어 가성 서버는 물리 서버 1대 위에 게스트가 되는 서버 여러 대를 "가상"으로 생성한다. 네트워크의 경우도 물리적 배선 1개를 가상으로 분할하여 다른 네트워크와 통합하거나 그 즉시 연결을 바꿀 수도 있다.
분산 처리와 로드 밸런서
서버 1대로 감당하기 힘들기 때문에 서버 여러 대에 같은 기능이나 정보를 가지고 분배하여 처리하는 것
서버 여러 대에 분배하는 장치를 로드 밸런서라고 한다. 로드 밸런서는 각 서버를 확인하여 부하를 분산한다.
https://lipcoder.tistory.com/515
[서버 가이드북] 2. 네트워크 기초 지식
네트워크 기술 이해하기 일반적으로 말하는 LAN은 크게 LAN 케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유선 LAN'과 전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LAN'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서버를 연결
lipcoder.tistory.com
NAT - NAPT
NAT는 프라이빗 IP 주소와 글로벌 IP 주소를 일대일로 연결하여 변환한다. NAT는 LAN에서 인터넷으로 연결할 때에는 출발지 IP 주소를 변환한다. 반대로 인터넷에서 LAN으로 연결할 때는 목적지 IP 주소를 변환한다.
NAPT는 프라이빗 IP 주소와 글로벌 IP 주소를 n대1 로 연결하여 변환한다. NAPT는 LAN에서 인터넷에 액세스할 때 출발지 IP 주소뿐만 아니라 출발지 포트 번호도 같이 변환함으로써 n대1 변환을 구현하고 있다. 여기서는 LAN에 있는 클라이언트가 인터넷에 있는 서버와 통신할 때를 예로 들어 NAPT의 처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1. 라우터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받은 패킷의 출발지 IP 주소를 프라이빗에서 글로벌로 변환한다. 이때 출발지 포트 번호도 변환하여 그 변환 정보를 기억한 후 서버에게 전송한다.
2. 서버는 클라이언트로 부터 패킷을 받아 그 처리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되돌려 준다.
3. 라우터는 받은 패킷의 목적지 IP 주소와 목적지 포트 번호를 미리 만들어 놓은 변환 정보를 바탕으로 원래대로 되돌리고 클라이언트에게 반환한다.
https://lipcoder.tistory.com/515
[서버 가이드북] 2. 네트워크 기초 지식
네트워크 기술 이해하기 일반적으로 말하는 LAN은 크게 LAN 케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유선 LAN'과 전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LAN'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서버를 연결
lipcoder.tistory.com
'클라우드 > 그림으로 이해하는 AWS 구조와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마존 웹 서비스 기초 지식 (0) | 2024.06.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