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아트 오브 셸 원라이너
001-터미널 사용
book_lover
2024. 6. 22. 09:35
echo %0
- ctrl + alt + t(우분투 데스크톱) : 터미널이 생성
$ 기호는 프롬프트라 부르며 사용자의 요청을 기다리는 상태임을 알려줌.
깜박이는 직사각형은 커서라 부르며 문자를 쓰이는 위치를 나타냄.
" echo $0"이라고 입력한 뒤 "enter" 키를 누르면 위 그림처럼 "bash"가 표시된다.
다시 "$"와 깜박이는 직사각형을 커서가 나타 남.
사용자의 요청은 echo $0와 같이 문자열로 전달되고 이런 문자열을 "명령어"라 부른다.
프롬프트를 열어 명령어를 받는 것은 터미널 자체가 아니라 터미널 안에서 작동하는 "셸"이라는 "소프트웨어"이다.
bash는 작동되는 셸의 이름이다.
터미널
보통 서로 먼 곳에 있는 컴퓨터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기를 가리키는 용어.
편의점의 티켓 발권기나 은행의 ATM 기기 등을 떠올려보면 좋다. 과거에는 터미널은 기계였으나 소프트웨어로 현재는 많이 사용된다.
https://kimwooseok.com/cs/2021/07/22/CS-Kernel/
커널, 쉘과 터미널의 차이 · 김우석
커널, 쉘과 터미널의 차이 22 Jul 2021 개요 : 커널의 개념과 검정 스크린의 CLI들의 차이 커널 커널은 프로세스 관리, 메모리 관리, 저장장치 관리와 같은 운영체제의 핵심적인 기능을 모아놓은 것
kimwooseok.com
현재는 터미널 에뮬레이터라고 불리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 보통 개인 PC에 연결되어 사용되지만 필요하면 외부와 연결할 수 있다.